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중장년 고용 정책에 대해 알아봅시다~(Feat. 중장년도 우대해주세요~)

by NeverEverPeace 2024. 6. 5.

목차

    서론

     

    여러분은 몇 살까지 일하고 싶으신가요?

    40세 이상 중장년 구직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평균 68.9세까지 일하고 싶다는 결과가 나왔는데요,
    (출처 : 2023년 중장년 구직활동 실태조사 - 한경협 중장년내일센터-)

    기대수명이 늘어나면서
    길어진 노후에 대비하기 위해
    은퇴 후에도 경제활동을 고려하는 중장년이 증가하고 있어요.

    앞으로 중장년층이 노동시장에서 소외당하지 않도록
    중장년의 특성을 반영한 고용정책이 필요하겠죠.

    오늘 포스팅은 고용노동부에서 진행하고 있는 중장년의 취업을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에 대해 알아보도록 할께요~

    1. 신중년 경력형 일자리사업>


    신중년 경력형 일자리사업은
    만 50세 이상 65세 미만인 신중년 퇴직전문인력에게
    지역사회에 필요한 공공일자리를 제공하여
    일경험을 통해 민간일자리로의 재취업을
    지원하는 중장년 고용정책 사업이에요.

    즉, 신중년의 경력과 전문성을 활용하여
    지역에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이죠.

    지방자치단체는 공모를 통하여
    공정하고 투명하게 참여자를 선발해야 하는데요,
    어떤 분이 참여할 수 있는지 알아볼게요~


    1) 참여 대상


    1> 만 50세 이상 65세 미만
    신중년 경력형 일자리사업은
    당해 연도를 기준으로
    만 50세 이상 65세 미만인
    대한민국 국적의 미취업자가 참여할 수 있어요.

    2> 수행 업무 관련 경력 등 보유자
    또 신중년 경력형 일자리사업에 참여하기 위해선
    수행 업무와 관련된 경력이나 자격이 필요한데요,
    아래의 항목 중 하나 이상을 갖춰야 해요.

    ① 수행 업무 관련 경력 3년 이상
    ② 수행 업무 관련 국가기술자격의 산업기사 이상이나
    서비스분야 1급 자격 취득
    ③ 수행 업무 관련 국가기술자격의 서비스분야 2급 자격 및
    단일등급의 자격 보유
    ④ ①~③ 요건을 충족하지 않은 경우에도
    고용노동(지)청의 선정위원회에서
    참여자 요건 완화가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 등


    2) 활동분야


    신중년 경력형 일자리사업에 참여하면
    경영전략, 인사노무, 마케팅홍보, 재무회계금융,
    사회서비스, 문화예술, 교육연구, 상담멘토링 등

    지자체에서 정한 13개 분야에서 활동하게 된답니다.

    경영
    전략
    (100)
    101. 기업비전/중장기전략
    IT
    정보화
    (700)
    701. 워드, 엑셀, 파워포인트,
    102. 구조조정
    702. 포토샵 및 일러스트 등
    103. 산업/기업분석
    703. 동영상 제작
    104. 사업계획
    704. IT시스템/보안통제
    105. 경영컨설팅
    705. 홈페이지제작 등
    106. 기타 경영전략
    706. 기타 IT정보화
    마케팅
    홍보
    (200)
    201. 광고홍보전략
    법률
    법무
    (800)
    801. 생활법률 관련
    202. 디자인 상표
    802. 분쟁조정
    203. 유통전략
    803. 국제법률
    204. 매장구성전략
    804. 기업법률
    205. 고객/서비스전략
    805. 국내외소송
    206. 프렌차이즈
    806. 인수합병 등
    207. 가격전략
    807. 기타 법률법무
    208. e-비즈니스
    문화
    예술
    (900)
    901. 공연 및 전시활동
    209. 기타 마케팅 홍보
    902. 행사기획 및 진행/보조
    인사
    노무
    (300)
    301. 기업문화
    903. 사진촬영
    302. 조직혁신
    904. 관광안내
    303. 조직관리
    905. 도서관, 박물관, 미술관 해설
    304. 인력관리
    906. 기타 문화예술
    305. 노사관리
    행정
    지원
    (010)
    011. 일반사무지원
    306. 성과평가
    012. 문서관리
    307. 직원만족
    013. 자료정리
    308. 기타 인사노무
    014. 기타 행정지원
    재무
    회계
    금융
    (400)
    401. 재무관리/분석
    교육
    연구
    (020)
    021. 초중고 학습지도
    402. 분쟁관련
    022. 예체능 지도
    403. 회계관리
    023. 특수교육
    404. 세무관리
    024. 진로지도교육
    405. 자금조달 등 기업금융
    025. 조사연구
    406. 기타 재무회계금융
    026. 기타 교육연구
    외국어
    (500)
    501. 통번역
    상담
    멘토링
    (030)
    031. 청소년 상담
    502. 회화
    032. 노인 상담
    503. 기타 외국어
    033. 취업 상담
    사회
    서비스
    (600)
    601. 환경기술지원, 생태 복원
    034. 기타 상담멘토링
    602. 의료보건
    기타
    (040)
    041. 요리
    603. 응급재난구호
    042. 체육
    604. 사회복지
    043. 미용
    605. 기타 사회서비스
    044. 기타

    자치단체는 기타 분야를 활용하여
    기존 분야 이외의 4차산업, 신직업 분야 등
    새로운 활동 분야를 발굴하여 운영할 수 있어요.


    3) 지원내용


    신중년 경력형 일자리사업에 참여하는 사람은
    근로기준법에 따른 근로자이며,
    자치단체는 최저임금법을 준수해서 임금을 결정해야 해요.

    참여자는 주휴수당, 연차수당을 포함하여
    최저임금 이상의 임금을 받고
    4대 보험을 적용받을 수 있어요.
    *자치단체별 세부 사업계획에 따라 근로시간과 임금 수준 상이

    신중년 경력형 일자리사업에 참여하고 싶으신 분은
    각 자치단체의 모집 일정을 참고해서 신청해주세요~

    2. 중장년내일센터


    중장년에게 특화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곳도 있죠.
    바로 중장년내일센터예요.

    이곳에서는 40세 이상의
    중장년 재직자, 퇴직예정자, 구직자와 사업주
    에게
    생애경력설계, 재취업 및 창업 지원, 특화서비스 등
    중장년층에 특화된 종합고용지원서비스를 제공하여
    고용안정과 재취업 촉진을 도모하고 있어요.

    올해 신규로 운영을 시작한 4곳을 포함하여
    전국 35곳 중장년내일센터에서
    다양한 맞춤형 서비스를 무료로 제공하고 있는데요,
    어떤 프로그램이 있는지 만나볼까요~?

     

    1) 생애경력설계서비스


    생애경력설계서비스는 장년에 진입하는 40세부터
    참여자의 연령, 취업여부, 종사 업종 등을 고려하여
    생애 과업 이해, 직업역량, 가치관 분석 등을 진행하며
    미래 경력 대안을 탐색하는 등
    체계적 경력관리를 지원하는 프로그램이에요.

    40세 이상의 중장년 재직(퇴직예정)자와 구직자
    참여할 수 있죠.

    중장년의 생애경력설계를 위해
    필수적으로 점검해야 할 요소들을 확인하고
    이를 통해 장·단기 경력계획을 수립할 수 있도록
    교육과 1:1 상담을 제공
    해요.

    2) 생애경력설계 프로그램


    재직자에게는 연령별로 세분화 된 프로그램을 통해
    중장년 경력자산을 발견하고
    미래 경력설계를 할 수 있도록 지원해요.

    구직자에게는 중장년 노동시장에 대한 이해를 통해
    재취업, 창업 등 다양한 진로를 모색하고
    미래 경력 탐색과 재설계 지원 및
    취업지원서비스를 제공
    하는데요,

    생애 중간 시점에 본인의 경력을 되돌아보고
    제2 인생의 준비 방향과 방법에 대한 계획을
    수립할 기회를 제공하는 거죠.


    3) 신청방법


    생애경력설계서비스는
    오프라인과 온라인으로 상시 신청할 수 있어요.
    오프라인으로는 가까운 중장년내일센터에 방문해서
    전직지원서비스 신청서와 구직신청서를 작성
    하여
    신청할 수 있어요.

    센터 주소와 연락처는 이곳에서 확인해주세요~

    중장년내일센터 (elifeplan.or.kr)

    중장년내일센터

    중장년 평생현역 프로젝트. 중장년내일센터의 생애경력설계, 전직지원 프로그램을 언제 어디서나 온라인 학습을 통해 체계적으로 준비할 수 있습니다

    www.elifeplan.or.kr 

     

    중장년내일센터

    중장년 평생현역 프로젝트. 중장년내일센터의 생애경력설계, 전직지원 프로그램을 언제 어디서나 온라인 학습을 통해 체계적으로 준비할 수 있습니다

    www.elifeplan.or.kr

     

     

    온라인으로는
    중장년 워크넷 또는 고용24에서 회원가입 후
    전직지원서비스와 생애경력설계 교육을 신청할 수 있어요.


    워크넷 - 중장년 > 프로그램 > 생애경력설계 (work.go.kr)

    생애경력설계 서비스 안내

    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지역워크넷 고용복지 + 센터 장애인고용포털 로그인 회원가입 이용안내 고객센터 원격지원 사이트맵 글자크기 글자 크게 하기 글자 작게 하기 글자 초기화 검색 일자리 검색 워크넷 중장년내일센터 진단검사 프로그램 중장년정책 중장년 고용 사례 채용정보 홈 1뎁스 2뎁스 3뎁스 현재 페이지 생애경력설계 생애경력설계는 중장년의 생애경력설계를 위해 필수적으로 점검해야 할 요소들을 확인하고 이를 통해 장·단기 경력계획을 수립할 수 있도록 교육과 1:1 상담을 제공합니다. 교육신청 나의 신청 내역 생애경력설계서비스 생애경...

    www.work.go.kr

     

    워크넷 - 믿을 수 있는 취업 포털

     

    www.work.go.kr

     

     

     온라인으로 생애경력설계 프로그램과
    전직스쿨 프로그램 수강이 가능
    하니,
    관심 있는 분들은 참고해주세요~

    중장년내일센터 (elifeplan.or.kr)

    중장년내일센터

    중장년 평생현역 프로젝트. 중장년내일센터의 생애경력설계, 전직지원 프로그램을 언제 어디서나 온라인 학습을 통해 체계적으로 준비할 수 있습니다

    www.elifeplan.or.kr 

     

    중장년내일센터

    중장년 평생현역 프로젝트. 중장년내일센터의 생애경력설계, 전직지원 프로그램을 언제 어디서나 온라인 학습을 통해 체계적으로 준비할 수 있습니다

    www.elifeplan.or.kr

     

     

    3. 전직·재취업 지원서비스

     

    중장년내일센터와 고용복지+센터에서
    중장년 유형에 따라 전직 지원 및 재도약 프로그램을 제공해요.

    전직을 원하는 퇴직(예정)자에게는
    전직 지원서비스
    를 통해
    ‘심층상담 - 전직준비도 검사 - 역량진단
    –교육·훈련 - 취·창업 정보 제공’
    을 지원해요.

    구직자를 대상으로 한 재도약 프로그램은
    ‘심층상담 - 교육·훈련 - 취·창업 정보 제공
    - 취업 알선 - 취업동아리 - 사후관리’
    를 통해
    재취업을 위한 구직 스킬 향상과 구직의욕 고취를 위한
    취업역량 강화프로그램을 제공하여
    빠르게 재취업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해요.


    4. 지자체 연계 특화서비스


    지자체 연계 특화서비스
    지역 중점산업의 구인 수요를 발굴하여
    해당 산업에 맞는 중장년 취·창업, 교육훈련
     등을
    지자체와 연계하여 제공하는 프로그램이에요.

    지자체 등 유관기관과 협업하여
    취업연계 프로그램, 직무교육, 직업훈련,
    중장년 고용기업 지원금 지원 등
    지역별 특화 서비스를 제공해요.


    5. 산업별 특화서비스


    산업별 특화서비스는
    경기변동 · 산업구조 변화 등으로 발생하는
    고용시장 변동 상황에 빠르게 대처하기 위해
    지역별 주요 산업을 반영
    하여,
    관련 산업별 협회 등과 함께
    직업정보제공, 직무교육, 취업지원 서비스 등
    제공하는 프로그램이에요.

    지역 내 주요 산업 분야로
    재진입 및 직무 전환을 희망하는 분들에게
    맞춤형 훈련을 제공하기 때문에
    중장년의 빠른 이직, 전직 및 재취업을 도와준답니다.


    6. 중장년 청춘문화공간


    중장년내일센터에는 일상에 지친
    중장년에게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기 위한 공간도 마련돼 있죠.
    바로 중장년 청춘문화공간이에요.

    출처 : 워크넷 중장년내일센터 (부산센터 청춘문화공간)

    이곳에서는 다양한 인문·문화 프로그램을 운영하는데요,
    중장년내일센터는 재취업지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니,
    한 곳에서 인문‧문화‧일자리를 알아볼 수 있어요.

    또 각 센터의 커뮤니티실은
    중장년 취업활동을 위해 필요하신 분들이
    예약을 통해 이용할 수 있어요.
    워크넷 - 중장년 > 중장년내일센터 > 청춘문화공간 소개 (work.go.kr)

    노사발전재단 청춘문화공간예약

    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지역워크넷 고용복지 + 센터 장애인고용포털 로그인 회원가입 이용안내 고객센터 원격지원 사이트맵 글자크기 글자 크게 하기 글자 작게 하기 글자 초기화 검색 일자리 검색 워크넷 중장년내일센터 진단검사 프로그램 중장년정책 중장년 고용 사례 채용정보 홈 1뎁스 2뎁스 3뎁스 현재 페이지 청춘문화공간 소개 청춘문화공간은 「청춘문화공간」은 다양한 목표를 가진 중장년이 내일(Tomorrow+My job)을 위해 상상하고 나누고 배우는 중장년 일자리 문화공간 입니다. 「청춘문화공간」에서는 일상에 지친 중장년의 새로운...

    www.work.go.kr

     

    워크넷 - 믿을 수 있는 취업 포털

     

    www.work.go.kr

     

    7. 사업주 지원 패키지


    중장년층 고용 확대를 위해
    사업주를 지원하는 프로그램도 있죠.

    사업주 지원 패키지에서는
    중소·중견기업 사업주의 중장년 일자리 수요에 따라
    「계속고용·신규고용 일자리 진단 및 개선방안 제시→
    기업 맞춤형 직무교육→ 채용지원」 

    사업주가 원하는 맞춤형 서비스로 통합 제공해요.

    기업에 적합한 전문성과 역량을 갖춘
    중장년 채용
    을 통해
    기업의 생산성 향상과 경쟁력 확보에 기여할 거예요.

    <재취업지원서비스 시행지원>

    ‘고용상 연령차별금지 및 고령자고용촉진에 관한 법률’,
    즉 고령자 고용법이 개정되면서
    근로자 1,000명 이상인 기업은
    퇴직예정자에게 재취업지원서비스를
    의무적으로 제공
    해야 해요.

    2023년부터는 의무화 대상이 아닌 중소·중견기업도
    자율적으로 재취업지원서비스를 도입할 수 있도록
    운영비용 지원제도를 신설
    했죠.

    정부는 이러한 중장년의 재취업지원 제도가
    현장에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사업주에게 제도 설계 컨설팅, 담당자 교육 등을 제공하는
    재취업지원서비스 시행지원 사업을 펼치고 있어요.

    재취업지원서비스를 도입한
    300인 이상 기업의 사업주에게
    재취업지원서비스 제도 설계 컨설팅 지원,
    기업 인사 담당자 등에게
    제도 안내 및 서비스 운영 관련 교육 제공,
    업종별 표준 프로그램 개발·보급 등을 지원
    하는데요,

    이를 통해 이직 예정인 장년 근로자의 구직 소요 기간을 단축하고
    양질의 일자리로 이동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장년 고용안정에 기여할 수 있을 거예요.

     

    결론

    오늘은 중장년 일자리 관련하여 정부 정책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청년이 미래인 것은 맞는 말이지만 산업 전반에 걸쳐 중장년 경력을 살릴 수 있는 대책이 시급합니다.

    중장년층에 대한 세심한 정책이 나오길 기원합니다.

     

    원문출처 : 고용노동부 공식블로그

     

    반응형